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25

[아파치] 우분투에 Apache 설치

우분투에서 Apache 웹 서버 설치 및 기본 설정 가이드Ubuntu에서 Apache 웹 서버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을 완료하는 방법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이 가이드를 따르면 누구나 쉽게 Apache를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1. Apache 설치 전 준비 작업우선, 최신 패키지를 사용하기 위해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sudo apt update그다음, Apache 웹 서버를 설치합니다.sudo apt install apache2 -y설치가 완료되면 apache2 서비스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2. Apache 실행 및 상태 확인Apache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세요.sudo systemctl status apache2만약 active (running) 상태..

웹 컨테이너와 서블릿의 차이점

웹 컨테이너와 서블릿의 차이점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와 서블릿(Servlet)입니다. 이 둘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각각의 역할과 기능이 다릅니다.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란?웹 컨테이너는 서블릿을 관리하고 실행하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Java EE(Java Enterprise Edition) 사양의 일부로, HTTP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주요 기능:서블릿의 생명주기 관리 (생성, 초기화, 서비스 요청 처리, 소멸)HTTP 요청과 서블릿 간 매핑 처리보안, 세션 관리, 트랜잭션 처리대표적인 웹 컨테이너:Apache TomcatJettyWildFly 서블릿(Servlet)란?서블릿은 J..

카테고리 없음 2025.02.10

서블릿 필터와 리스너의 차이점

서블릿 필터와 리스너의 차이점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서블릿 필터(Servlet Filter)와 리스너(Listener)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둘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각기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블릿 필터(Servlet Filter)란?서블릿 필터는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과 서버의 응답(response) 사이에서 동작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주로 요청을 가로채어 추가적인 처리나 검증을 수행하거나, 응답을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주요 기능:요청 및 응답 로깅인증 및 권한 검증데이터 압축 및 암호화요청 데이터 변환예제:public class AuthFilter implements Filter {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

enctype이란 무엇인가?

enctype이란 무엇인가?enctype은 HTML 폼(form) 요소에서 사용되는 속성으로, 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때 데이터의 인코딩 방식을 정의합니다. 주로 태그와 함께 사용되며, 폼 데이터를 서버가 어떻게 해석하고 처리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nctype의 기본 구조 전송여기서 enctype 속성은 폼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될 때의 인코딩 방식을 설정합니다. enctype의 주요 타입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기본값)폼 데이터를 키-값 쌍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합니다.공백은 +로 변환되고, 특수 문자는 퍼센트 인코딩(%) 처리됩니다.예: name=John+Doe&age=30multipart/form-data파일 업로드 시 필수로 사용되는..

DOM 객체란 무엇인가?

DOM 객체란 무엇인가?웹 개발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DOM(Document Object Model) 객체입니다. 이는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프로그래밍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모델로, HTML이나 XML 문서를 트리 구조로 표현합니다. DOM 객체의 정의DOM은 웹 페이지의 모든 요소를 객체로 표현하는 모델입니다. 이 객체들은 계층적인 트리 구조를 이루며, 각 요소는 노드(Node)로 구성됩니다. DOM 트리의 최상위에는 Document 객체가 있으며, 그 하위에 HTML 요소들이 계층적으로 배치됩니다.예를 들어, 간단한 HTML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Hello, World! This is a paragraph. 이 코드의 DOM 트리는 다..

Context Root란 무엇인가?

Context Root란 무엇인가?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배포할 때 자주 접하게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Context Root입니다. 이는 주로 Java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예: Tomcat, JBoss, WebSphere 등)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다른 프레임워크나 서버에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활용됩니다. Context Root의 정의Context Root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최상위 경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URL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경로라고 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URL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http://www.example.com/myapp/index.html여기서 /myapp이 바로 Cont..

URL과 URI의 차이점

URL과 URI의 차이점URL과 URI의 차이점은 웹 개발이나 네트워크 분야에서 자주 혼동되는 부분입니다. 이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URL과 URI의 개념과 그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URI란 무엇인가?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통합 자원 식별자"라는 뜻으로,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입니다. 말 그대로 어떤 자원(Resource)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다시 말해, URI는 자원의 위치나 이름을 지정하는데 사용됩니다.URI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URN (Uniform R..

RESTful API란 무엇인가?

RESTful API란 무엇인가?현대 웹 개발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RESTful API입니다. 이 개념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모바일 앱, 웹 서비스, IoT 등 다양한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1. REST와 RESTful API의 개념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의 설계 원칙 중 하나로,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명확하게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원칙을 따르는 API를 RESTful API라고 부릅니다.RESTful API는 간단히 말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API입니다. 이때, 각각의 URL은 고유한 자원을 ..

Node.js의 강력한 웹 프레임워크, Express란?

Node.js의 강력한 웹 프레임워크, Express란?Node.js로 서버 개발을 시작한다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프레임워크가 바로 Express입니다.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Express는 Node.js의 대표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빠르게 API 서버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Express란 무엇인가?Express는 Node.js 위에서 동작하는 경량 웹 프레임워크입니다. 기본적인 HTTP 서버를 구축하는 Node.js의 `http` 모듈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며, 복잡한 로직을 단순화하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Expres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간결한 문법: 최소한의 코드로 강력한 서버 구..

Homebrew 는 무엇인지? 그리고 설치

Homebrew 설치 가이드: macOS와 Ubuntu에서 쉽게 따라하기Homebrew는 개발자들이 소프트웨어를 쉽고 빠르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원래는 macOS 전용으로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Linux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acOS와 Ubuntu 환경에서 Homebrew를 설치하는 방법과 기본 사용법을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 1. Homebrew란?Homebrew는 복잡한 설정 없이 간단한 명령어로 다양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macO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인 brew 명령어로 유명하며, 이제는 Linux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간단한 명령어로 빠른 패키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