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관련/iOS SWIFT 27

[Swift] 프로퍼티 랩퍼 (Property wrapper)

프로퍼티를 보다가 여기까지 흘러들어왔는데, SwiftUI를 보다보면 신기한 것들이 좀 많다. 공부를 안한지가 좀 되서 그런가 뒤떨어지고 싶진 않아서 학습을 다시 시작했다. @State, @Binding, @EnvironmentObject... "저건 도대체 뭐라고 부르며, 뭐인가??" 라고 잠깐 생각했다가 잊어버리길 반복 드디어 공부를 하는 시점이 왔다. 지금까지의 공부에 의하면, 프로퍼티 래퍼는 프로퍼티를 가질 수 있는 타입 앞에 붙일 수 있다고 한다. class, struct, enum 프로퍼티래퍼에 대한 샘플 코드 @propertyWrapper struct Uppercased { private var value: String = "" var wrappedValue: String { get { sel..

[Swift] 프로퍼티 (Property)의 종류

프로퍼티에 대해서 알고 있는것 같다가도 모르는게 있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프로퍼티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 한다. 오늘 정리를 하게된 이유는 타입프로퍼티에 대해서 의문이 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SwiftUI를 공부하던 도중 '타입프로퍼티값을 저장프로퍼티에 적용할 수 없다'와 비슷한 에러가 발생해서, 어? 타입 프로퍼티가 뭐였지?? 로 시작되었다. 프로퍼티는 크게 3가지 부류로 나뉜다. 저장 프로퍼티 클래스 / 구조체 연산 프로퍼티 클래스 / 구조체 / 열거형 타입 프로퍼티 클래스 / 구조체 / 열거형 저장 프로퍼티 저장 프로퍼티에는 지연 프로퍼티도 포함된다. 연산 프로퍼티 연산 프로퍼티는 값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타입 추론을 통한 형식을 알수 없기에, 선언할 때 타입 어노테이션을 통해 자료형을 명시해..

[Swift] outer:

오늘은 outer: 라는 것에 대해 공부를 해본다. outer:라는 놈의 진짜 이름은 모르겠으나, 통상적으로 outer라고 불리는것으로 보인다. outer: while (true) { }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며, 별칭 정도로 보면 될것 같다. 용도는 continue나 break를 사용할때, outer.continue 와 같은 방식으로 쓸 수 있다. 장점은 다중 반복문에서 특정한 반복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글로만 끄적 끄적 글을 남기는 것이 아쉽긴 하나, 굳이 코드를 쓸 필요는 없는 글이기에 이렇게 마무리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