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관련 68

[Swift] 프로퍼티 (Property)의 종류

프로퍼티에 대해서 알고 있는것 같다가도 모르는게 있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프로퍼티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 한다. 오늘 정리를 하게된 이유는 타입프로퍼티에 대해서 의문이 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SwiftUI를 공부하던 도중 '타입프로퍼티값을 저장프로퍼티에 적용할 수 없다'와 비슷한 에러가 발생해서, 어? 타입 프로퍼티가 뭐였지?? 로 시작되었다. 프로퍼티는 크게 3가지 부류로 나뉜다. 저장 프로퍼티 클래스 / 구조체 연산 프로퍼티 클래스 / 구조체 / 열거형 타입 프로퍼티 클래스 / 구조체 / 열거형 저장 프로퍼티 저장 프로퍼티에는 지연 프로퍼티도 포함된다. 연산 프로퍼티 연산 프로퍼티는 값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타입 추론을 통한 형식을 알수 없기에, 선언할 때 타입 어노테이션을 통해 자료형을 명시해..

[Javascript] 호이스팅

자바스크립트는 호이스팅이란는 것이 있다. 컴파일 전에 선언된 녀석들을 위로 끌어당긴다는 의미와 가깝다 myFunc(); function myFunc() { console.log("I'm alive"); }; hello 함수가 나중에 선언되었지만, 이 함수는 정상 호출된다. 이를 함수 선언식의 호이스팅이라 한다. notCall(); var notCall = function () { console.log("I didn't born."); }; 이렇게 함수를 변수에 담아놓고 호출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함수 표현식은 호이스팅이 되지 않는다. 자바스크립트는 선언에 대해서만 호이스팅을 지원한다. 변수 할당에 대한건 무시. console.log(notEmpty); var notEmpty = 3; undefined 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