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ntext Root란 무엇인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배포할 때 자주 접하게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Context Root입니다. 이는 주로 Java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예: Tomcat, JBoss, WebSphere 등)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다른 프레임워크나 서버에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활용됩니다.
Context Root의 정의
Context Root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최상위 경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URL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경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URL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http://www.example.com/myapp/index.html
여기서 /myapp이 바로 Context Root입니다. 이 경로는 서버 내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요청을 라우팅하는 기준점 역할을 합니다.
용도
- 애플리케이션 식별: 같은 서버에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배포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Context Root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 URL 관리의 편리성: 명확한 Context Root 설정은 URL 구조를 깔끔하게 유지하고, 관리하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 보안과 접근 제어: 특정 Context Root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 Tomcat의 경우: server.xml 파일이나 web.xml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conf/Catalina/localhost 폴더에 .xml 파일을 생성하고, Context Root를 지정합니다.
- Spring Boot의 경우: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서 server.servlet.context-path=/myapp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반응형
'개발 관련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ctype이란 무엇인가? (0) | 2025.02.10 |
---|---|
DOM 객체란 무엇인가? (0) | 2025.02.10 |
URL과 URI의 차이점 (0) | 2025.02.09 |
RESTful API란 무엇인가? (0) | 2025.02.08 |
Node.js의 강력한 웹 프레임워크, Express란?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