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릿(Servlet)과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 완벽 정리
웹 개발에서 서블릿(Servlet)과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두 개념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자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블릿과 서블릿 컨테이너의 차이점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서블릿(Servlet) 이란?
서블릿(Servlet)은 Java 언어로 작성된 서버 측 프로그램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HTTP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로 응답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블릿의 주요 기능
• HTTP 요청 처리: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에서 받아 처리합니다.
• 동적 콘텐츠 생성: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동적으로 HTML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 비즈니스 로직 수행:로그인, 회원가입, 데이터 처리와 같은 핵심 로직을 담당합니다.
서블릿의 기본 구조 (HelloServlet 예제)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h1>Hello, World!</h1>");
}
}
• doGet 메서드:HTTP GET 요청을 처리합니다.
• response 객체:클라이언트에게 HTML 형식으로 응답을 반환합니다.
2.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란?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서버 환경을 의미합니다. 즉, 서블릿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 요청을 서블릿으로 전달하며,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블릿 컨테이너의 주요 기능
• 서블릿 생명주기 관리:서블릿의 생성, 초기화, 서비스 요청 처리, 종료 과정을 관리합니다.
• 요청과 응답 처리:HTTP 요청을 서블릿으로 전달하고, 서블릿의 응답을 클라이언트로 반환합니다.
• 보안 관리:사용자 인증, 권한 부여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 스레드 관리:다수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스레드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대표적인 서블릿 컨테이너 예시
• Apache Tomcat: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서블릿 컨테이너
• Jetty:가벼운 서블릿 컨테이너로 빠른 처리 속도가 강점
• WildFly (JBoss):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서버
3. 서블릿 vs 서블릿 컨테이너: 비교 표
구분 | 서블릿 | 서블릿 컨테이너 |
정의 | 서버에서 실행되는 Java 기반 프로그램 | 서블릿을 관리하고 실행하는 서버 환경 |
역할 | HTTP 요청 처리 및 응답 생성 | 서블릿의 생명주기 관리, 요청 전달 및 응답 반환 |
개발자 관점 | 비즈니스 로직 개발 | 서블릿 실행 환경 제공, 개발자는 직접 수정하지 않음 |
주요 기술 | Java Servlet API | Apache Tomcat, Jetty, WildFly 등 |
관리 기능 | 요청 처리, 데이터베이스 연동 | 스레드 관리, 보안, 로깅, 에러 처리 |
4. 서블릿과 서블릿 컨테이너의 동작 흐름
아래는 클라이언트 요청부터 응답까지의 기본적인 동작 흐름입니다.
1. 클라이언트 요청: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거나 버튼을 클릭하여 요청을 보냄
2. 서블릿 컨테이너 처리:요청을 받아 적절한 서블릿으로 전달
3. 서블릿 동작:요청을 처리하고 동적 페이지(HTML, JSON 등) 생성
4. 응답 반환:생성된 데이터를 서블릿 컨테이너가 클라이언트로 전달
[브라우저] → HTTP 요청 → [서블릿 컨테이너] → [서블릿] → 데이터 처리 → [서블릿 컨테이너] → HTTP 응답 → [브라우저]
5. 서블릿의 생명주기 (Lifecycle)
서블릿은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다음과 같은 생명 주기를 따릅니다.
1. 생성 (Initialization):init() 메서드 호출로 서블릿 초기화
2. 요청 처리 (Service):service() 메서드 호출로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
3. 종료 (Destruction):destroy() 메서드 호출로 서블릿 종료
public class LifeCycle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서블릿 초기화");
}
public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
System.out.println("요청 처리 중...");
}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서블릿 종료");
}
}
6. 결론
• 서블릿은 웹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측 프로그램입니다.
• 서블릿 컨테이너는 이러한 서블릿을 관리하고 실행하는 환경입니다.
• 서블릿은 개발자가 작성하고, 컨테이너는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개발 관련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O와 DAO의 개념 및 차이점 (0) | 2025.02.07 |
---|---|
HttpServlet 정리 (0) | 2025.02.07 |
cURL(Client URL) 완벽 가이드 (1) | 2025.02.06 |
[nodejs] 00. nodejs 설치 (0) | 2024.08.27 |
계정에 sudo 권한 주는법 (0) | 2024.08.27 |